1. CPU가 하는 일
- Fetch(인출)
- 메모리 상의 프로그램 카운터가 가리키는 명령어를 CPU로 인출하여 적재
- Decode(해석)
- 명령어의 해석
- 명령어의 종류와 타겟 등을 판단
- Execute(실행)
- 해석된 명령어에 따라 데이터에 대한 연산을 수행
- Writeback(쓰기)
- 명령어대로 처리 완료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기록
2. CPU 내부의 물리적인 구조

1) 시스템 버스
- CPU와 시스템 내의 다른 요소들 사이에 정보를 교환하는 통로
- 주소 버스
- CPU가 외부로부터 또는 외부로 발생하는 주소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의 버스 형태로
선의 수는 최대 기억장치 용량을 의미 - Ex) 주소버스의 형식이 8비트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면, 해당 기억장치 요소도 2의 8승,
256개의 기억장소들의 주소지정이 가능 - 주소가 CPU에서 기억장치(메모리 계통)또는 입출력 장치로 이동하므로, 단방향 통신을 함
- CPU가 외부로부터 또는 외부로 발생하는 주소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의 버스 형태로
- 데이터 버스
- 주소 버스를 사용하여 기억장치, 입출력 장치 등의 외부 장치들과의 데이터 통신을 하는 버스 형태로,
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비트의 수를 정의 - 양방향 통신
- 주소 버스를 사용하여 기억장치, 입출력 장치 등의 외부 장치들과의 데이터 통신을 하는 버스 형태로,
- 제어 버스
- CPU와 외부 구성 부품들을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된 버스
- 양방향 통신
- 주소 버스
2) CPU 내부 레지스터
- PC (Program Counter)
- 다음에 인출될 명령어의 주소를 가지고 있는 레지스터
- IR (Instructions Register)
- 가장 최근에 인출되었던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는 레지스터
- AC (Accumulator)
-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레지스터
- MBR (Memory Buffer Register)
- 기억장치로부터 읽혀진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 레지스터
- MAR (Memory Address Register)
- PC로부터 저장된 명령어 주소가 시스템 주소 버스로 출력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저장
'컴퓨터 구조 &운영체제 > 컴퓨터구조 + 운영체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PU Scheduling (0) | 2023.08.29 |
---|---|
프로세스 (0) | 2023.08.14 |
운영체제 기초 (0) | 2023.08.14 |
메모리 (0) | 2023.08.14 |
컴퓨터 구조 (0) | 2023.08.10 |